대학원

교육과정

석사과정

2181001 석사학위논문연구 (Research for Master's Degree)
4학점

2181019 청년심리연구 (Adolescent Psychology)
3학점 청년기의 인지, 인성, 사회성 발달의 특수성과 심리적 적응에 대한 문제들을 다룬다.

2181020 학교교육과정평가론 (Theories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3학점 각급학교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포함하여 교육과정 평가영역의 그 특성, 교육과정 평가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문제, 프로그램 평가의 특성과 그 방법,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구성에 대해 다룬다.

2181040 고급인지발달론 (Advanced Theories of Cognitive Development)
3학점 성장과 더불어 일어나는 인지기능 양식의 변화에 관한 보편적 단계가 발견된다고 주장하는 전통적인 Piaget의 인지적 구성주의에 입각한 인지발달론을 검토하고, 인지발달에 있어서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입각한 인지발달이론을 개관한다. 또한 정보처리이론에 기반을 둔 신 Piaget 이론(Neo-Piagetian theory)도 함께 탐색한다.

2181041 인지학습과학 연구의 기초 (Foundations of Cognitive Learning Science Research)
3학점 인지학습과학분야의 질 좋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지식(예, 참고문헌 및 출처 기술, 연구진행과정, 선행연구분석, 연구방법, 결과, 논의 및 결론 기술, 편집 등)과 IRB, 연구 윤리에 대한 정보를 내재화한다.

2181042 언어, 사고와 교육(팀티칭) (Language, Thinking and Education)
3학점 아동의 언어발달과정과 인지발달을 이해하고 언어 및 소통능력과 학습자의 교육 발달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한다.

석/박사 과정

2182001가족치료이론 (Theories of Family Therapy)
3학점 가족치료모델에 대한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며 가족 간의 여러 문제를 역동적인 맥락에서 살펴본다.

2182004고급교육과정이론 (Advanced Theories of Curriculum)
3학점 교육과정 이론의 개념, 교육과정 이론의 정립과 그 과정, 교육과정 이론에 있어서 가치문제, 교육과정 이론에 있어 기초가 되는 요소,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정의 기초모형, 목적, 내용을 다룬다.

2182005고급생리심리학 (Advanced Physiological Psychology)
3학점 생리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 및 정신활동을 특히 인간의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작용으로 설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원리와 방법 그리고 그 결과로 밝혀진 제반 연구결과들을 이해하고, 현실생활에의 적용가능성을 동시에 탐색한다.

2182006고급성격심리학 (Advanced Personality Psychology)
3학점 성격심리학의 주요이론을 전반적으로 논의하며, 특히 최근의 이론을 검토하여 새로운 이론의 정립을 시도해 본다.

2182009고급임상심리학 (Advanced Clinical Psychology)
3학점 임상심리학의 주요 연구문제들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들을 다룬다.

2182010고급학습부진아연구 (Advanced Studies on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3학점 인간학습 및 기억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이해한 후 학습부진아들에 대한 인지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아울러 동기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학습부진아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한다. 그리고 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 과정에 관련되는 변인들의 성격과 기능을 이해한 다음 실제적인 지도 방법을 최근의 이론에 근거하여 탐색한다.

2182017교육프로그램평가론 (Program Evaluation)
3학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평가적 접근 논리를 이해하고 평가를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목적 달성도 증대와 그 질 관리 능력 함양에 초점을 둔다.

2182019부모자녀관계론 (Theorie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3학점 부모자녀의 여러 가지 문제를 검토하여 보며, 특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리적 방안을 탐색한다.

2182020상담의 문제와 윤리 (Ethical Issues in Counseling Psychology)
3학점 상담자와 상담장면을 중심으로 일어날 수 있는 법적 또는 윤리적인 문제를 다룬다.

2182025심리진단 (Psychological Diagnosis)
3학점 면담, 심리검사, 행동관찰을 통하여 얻은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심리적 부적응을 진단하고 기술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다룬다.

2182030정신병리학 (Psycho Pathology)
3학점 개인의 정신질환과 일탈행동 등의 정신병리 현상들을 개인, 가족 사회수준과 연결시켜 규명하려는 최근 연구들을 다룬다.

2182034태도 및 가치관평가 (Evaluation of Attitude & Value System)
3학점 태도 및 가치관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위한 이론 및 평가의 유형을 개관하고, 평가 도구의 제작. 실시 및 결과의 해석과 활용의 방법을 탐구한다.

2182037학교체제평가론 (Evaluation of School System)
3학점 학교 기관의 목적 달성도와 그 교육활동의 효과(영향)를 적절하게 평가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평가적 논리를 심도있게 다룸으로써 학교체제의 목표달성의 증대 및 질 관리를 효율적으로 기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2182043중다변인분석법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3학점 연구목적이 적절한 통계적 설계 논리를 바탕으로 중다변인을 중심으로 한 고급 추리 통계적 방법을 이해하고 그 적용 능력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2182052심리평가 (Psychological Assessment)
3학점 임상현장에서 사용하는 주요 심리평가 기법과 각종 심리검사의 구성이론과 실제, 채점 및 해석방법을 포괄적으로 깊이 있게 연구하고, 실습을 통해 실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2182059고급교육심리학 (Advanced Educational Psychology)
3학점 인간의 다양한 행동 및 정신과정이 ‘어떻게 또 무엇을’ 통해 발달해 가는지를 다룬다. 여기서 ‘어떻게’는 발달의 내용측면을 다룰 것이며, ‘무엇을 통해’는 그러한 변화의 조건, 원인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것을 최근의 발달심리학 분야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2182060고급발달심리학 (Advanced Developmental Psychology)
3학점 인간의 다양한 행동 및 정신과정이 '어떻게 또 무엇을 통해 발달해 가는지를 다룬다. 여기서 '어떻게'는 발달의 내용측면을 다룰 것이며, '무엇을 통해'는 그러한 변화의 조건. 원인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것을 최근의 발달심리학 분야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2182062지역사회심리학 (Community Psychology)
3학점 지역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와 개인의 정신건강문제 등을 다루며, 특히 예방중심의 지역정신 건강체계를 다룬다.

2182063인지치료 (Cognitive Psychology)
3학점 인지치료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익히고 여러 가지 치료기법을 실습과 토의를 통해 연구한다. 이를 통해 심리치료사례에 적용하여 인지치료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2182064고급심리통계 (Advanced Psychological Statistics)
3학점 연구 목적 달성에 적절한 자료(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통계적 방법논리의 선정 논리의 이해와 그 적용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다.

2182065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3학점 학위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방법 논리를 다루며 다양한 접근 논리에 입각한 연구의 설계, 자료의 수집 및 처리, 결과 보고서 작성 능력을 포함한 기본적인 연구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2182066연구수행의 실제 (Practice in Research Methodology)
3학점 연구목적과 주제에 적합한 방법논리를 중심으로 한 실천적 경험을 통하여 연구수행능력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특히 개인별 연구계획서에 입각하여 연구의 계획과 수행과정을 포함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 및 처리하는 동시에 그를 바탕으로 연구논문. 특히 학위청구논문을 작성해보는 실제 경험을 강조한다.

2182067분석심리학 (Analytical Psychology)
3학점 분석심리학의 역사적 배경과 방법론 등의 이론적 지식을 기초로 하여 인격의 구조, 역동성, 발달, 심리학적 유형, 성장과 꿈을 이해하도록 한다.

2182069고급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Advanced Psychotherapy & Counseling Theories)
3학점 심리치료의 이론 및 이름 실제 장면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2182072검사도구개발세미나 (Seminar in Instrument Development)
3학점 교육 및 심리검사 개발의 목적과 절차를 이해하고 검사도구 개발을 통하여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한다.

2182073통계의 연구적 활용 (Statistical Application in Research)
3학점 기본 통계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통계방법들이 교육 및 심리 분야 연구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이해한다.

2182076상담심리연구방법 세미나 (Seminar for Research Methodology in Counseling Psychology)
3학점 상담심리 분야의 논문을 설계하고 프로포잘 작성법과 예비조사법을 이해하고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을 다룬다.

2182077교육심리연구방법 세미나 (Seminar for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al Psychology)
3학점 교육심리 분야의 논문을 설계하고 프로포잘 작성법과 예비조사법을 이해하고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을 다룬다.

2182078측정·평가 연구방법 세미나 (Seminar for Research Methodology in Measurement & Evaluation)
3학점 측정평가 분야의 논문을 설계하고 프로포잘 작성법과 예비조사법을 이해하고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을 다룬다.

2182079고급 학습 동기이론 (Advanced Motivation Theories)
3학점 동기화는 인간의 개별적 동기와 생활조건의 일시적 상호작용. 즉 일정한 인간의 행위경향성은 동기강도, 목표나 보상의 값어치와 이에 대한 성공 확률성의 함수로 나타난다. 이러한 동기화에 대한 일반이론을 검토하고 아울러 개인의 행동 및 정신과정의 변화를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인 학습동기에 대한 최근의 인지적 이론들을 개관한다.

2182080놀이치료 이론 및 실제 (Theories and practice of Play Therapy)
3학점 정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아동의 성정을 도울 수 있도록 놀이를 통한 치료적 접근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즉,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자아상을 형성하여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놀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방법의 이론을 탐구한다. 더불어 놀이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그 기법들을 적용하는 방안을 탐구하여 실제를 적용한다.

2182081고급 모래놀이 치료 (Advanced Sand Play Therapy)
3학점 모래놀이치료는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아동, 청소년 성인들에게 모래놀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치료적 방법을 시도하는 접근이다. 모래놀이치료 이론과 구체적 기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2182082고급 진로상담 (Advanced Career Counseling)
3학점 개인 진로 발달 및 진로 결정과 관련된 제이론을 익히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2182084투사검사 (Projective Test)
3학점 Rorschach검사를 비롯한 주요 무사법의 실시, 채점, 해석 및 임상 적용방법을 익힌다.

2182085신경심리평가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학점 대뇌손상에 의한 심리, 생리적 과정과 그 평가방법 및 심리재활방법을 탐색한다.

2182086위계선형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3학점 회귀분석과 요인분석을 이해하고 구조방정식의 기본개념과 다양한 모델을 실제 연구에 적용한다.

2182087라쉬모형의 이해 및 적용 (Theories and applications for Rasch Model)
3학점 라쉬모형의 기본적 개념과 적용방법을 이해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2182088기준점 설정 방법 이해 (Understanding standard setting)
3학점 교육과 심리검사에서 기준점 설정의 기본개념과 기준점을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해한다.

2182089구조방정식 모형 (Introducti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학점 회귀분석과 요인분석을 이해하고 구조방정식의 기본개념과 다양한 모델을 실제 연구에 적용한다.

2182091임상현장실습 (Practicum in Clinical Psychology)
3학점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의 실습을 지도한다.

2182092질적연구방법론 (Seminar in Qualitative Research)
3학점 교육심리학적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탐구방법 패러다임에 입각한 다양한 방법논리와 그 용사례를 다룬다.

2182093응용행동분석 및 단일대상연구 (Applied Behavior Analysis & Single Subject Research)
3학점 특수아동 상담 및 교육 분야의 한 연구방법인 응용행동분석과 단일대상연구설계법을 습득하여 연구수행을 위한 능력을 형성한다.

2182094실험설계법 (Experimental Design)
3학점 연구 및 평가 목적에 적절한 설계 논리와 방법 논리를 이해하고 그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2182095연구의 평가 (Evaluation of Research Studies)
3학점 연구활동 및 연구보고서(논문)의 질적 개선을 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평가적 논리를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고 다양한 연구를 타당하고 신뢰롭게 평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접근 논리를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연구의 계획과 수행과정을 통한 연구의 영향 등이 주된 평가의 영역이 된다.

2182096검사동등화 (Test Equating)
3학점 표준화검사와 심리검사에서의 동등화 개념을 이해하고 동등화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척도 위의 검사를 공통척도에 수립하고 상호비교가능하게 한다.

2182098집단상담 및 치료 (Group Counseling & Psychology)
3학점 집단상담과 치료에 대한 여러 이론을 고찰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기법을 익힌다.

2182101인적자원개발 및 평가 (Human Resource Development & Evaluation)
3학점 본 교과목은 교육현장 또는 조직에서 요구되는 인적자원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어떻게 지원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인적자원에 대한 평가방법을 탐색한다.

2182102고등교육에서의 평가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학점 고등교육현장에서 학생의 수월성과 교육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평가내용 및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중점을 둔다.

2182103문항반응이론 I (Item Response Theory I)
3학점 연구 및 평가 목적에 적합한 심리측정이론을 배경으로 수집된 자료와 개발된 측정 도구의 문항별 반응을 분석하는데 활용되는 문항반응이론의 기본개념 및 모형을 이해한다.

2182104문항반응이론 II (Item Response Theory II)
3학점 문화반응이론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심화된 모형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고 적용방법을 실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2182105메타분석 (Meta Analysis)
3학점 사회과학분야에서 사용되는 메타분석의 기본 개념, 분석방법, 결과해석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메타분석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2182106프로그래밍 이해 및 적용 (Programing)
3학점 교육현장에 필요한 주제를 디자인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한다.

2182107데이터 과학의 이해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3학점 데이터 과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을 이해한다. 통계, 데이터분석방법. 컴퓨터 공학을 융합한 과학적 방법을 교육 분야에 적용한다.

2182108기업상담 및 코우칭 (Counseling and Coaching in the Workplace)
3학점 기업이나 산업현장에서 실시되는 상담서비스와 코칭 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심리학의 다양한 이론과 모형에 대해 학습하고 조직과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를 이해한다.

2182109데이터 과학 캡스톤 (Data Science Capstone)
3학점 교육분야에 데이터 과학이 적용될 수 있는 주제를 탐색하고 데이터 과학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2182110아동 및 청소년심리치료 (Psychotherapy for Adolescents and Children)
3학점 아동 및 청소년의 정신구조와 심리적 특징을 이해하며, 심리치료의 과정 및 기법에 대하여 다룬다.

218213디지털 치료제 개발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Digital Therapeutics Development)
3학점 디지털 치료제는 소프트웨어, 모바일 앱, 웨어러블 기기와 기타 디지털 기술을 다양한 장애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치료제는 미국 식약청에서 정식의학치료제로 승인을 받는 등 기술혁명과 더불어 등장한 새로운 치료패러다임이다. 본 강의에서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인지신경과학 이론과 정신 및 신체 장애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최근 연구 및 시장동향을 고찰한다. 또한 현재 개발되어 있는 디지털 치료제들에 대한 사용분석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문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182114빅데이터 시대의 교육모델개발 (Developing Instructional Models using Big Data)
3학점 이 수업은 빅데이터, 자료과학, 기계학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육서비스 시장의 수요를 분석하고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교육서비스 수요자의 필요에 부합하는 교육모델을 구축하는 역량을 배양한다.

2182115인지과학기반 인간과 기계학습 (Cognitive Science based Machine Learning)
3학점 다양한 인지적 상황에서 인간과 기계의 정보처리적 메카니즘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러닝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교육, 학습 상황에 적용하는 프로그램을 연구한다.

2182116고급건강심리학 (Advanced Health Psychology)
3학점 신체건강과 질병에 미치는 심리적 과정을 규명하고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조건들을 연구한다. 심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심리신체적 질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2182118읽기장애 교수-학습전략 및 중재 콘텐츠 개발 (Instruction-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s Development for Reading Difficulties)
3학점 음운인식 및 독해장애를 갖은 학생들의 뇌, 인지적 특징과 학습습관 읽기 오류를 이해하고 읽기 성취도 진단, 평가, 중재 전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주어진 사례에 대한 중재 콘텐츠를 개발한다.

2182119쓰기장애 교수-학습전략 및 중재 콘텐츠 개발 (Instruction-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s Development for Writing Difficulties)
3학점 철자 및 작문장애를 갖은 학생들의 뇌, 인지적 특징과 학습습관, 쓰기 오류를 이해하고 쓰기 성취도 단, 평가, 중재 전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주어진 사례에 대한 중재 콘텐츠를 개발한다.

2182120수학장애 교수-학습전략 및 중재 콘텐츠 개발 (Instruction-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s Development for Writing Difficulties)
3학점 수개념, 연산 및 수학장애를 갖은 학생들의 뇌, 인지적 특징과 학습습관. 쓰기 오류를 이해하고 쓰기 성취도 진단, 평가, 중재 전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주어진 사례에 대한 중재 콘텐츠를 개발한다.

2182121학업저성취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Programs)
3학점 학업 저성취 학생을 위한 교재 이해전략, 암기전략을 사회, 과학과목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182122학습자 진단 및 평가의 실제 (The Practice of Learner Diagnosis and Assessment)
3학점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은 물론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기술의 수준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도구. 절차, 데이터 해석방법을 익히고 실제 검사를 진행한다.

2182123뇌과학 기반 경도장에 연구 (Neuroscience-based Research on Mild Disabilities)
3학점 학습장애, ADHD, 경도수준의 정서행동장애 또는 지적장애, 경계선지능에 대한 선행연구를 뇌과학적 측면에서 탐구하고, 이 분야에 필요한 연구 주제를 규명한다.

2182124학습중재 현장실습 및 수퍼비전 (Learning Intervention Fieldwork and Supervision)
3학점 학생들은 실제 교수·학습현장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지도하고 이에 대한 수퍼비전을 받거나, 그 자신이 수퍼바이저로서 피드백을 제공한다.

2182125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Research on Psychology of Education)
3학점 학생들은 심리학의 원리가 교육적 맥락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론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이 학습과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또한 넓은 시야를 가지고 교육정책의 실행이 다양한 학습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2182126단일대상 연구 (Single Subject Research)
3학점 단일대상연구는 케이스 스터디(질적 연구)와는 달리 계량 연구의 한 방법이다. 학생들은 단일대상연구의 원리와 내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및 다양한 설계법에 대해서 배우고 실제 연구계획서를 작성한다.

2182127고급 학습상담 이론과 실제 (Advanced Theories and Practices of Learning Counseling)
3학점 학생들은 학습상담의 과정, 학습자의 주 호소문제, 학습활동과 관계된 정서 및 동기에 대해 선행연구와 문헌분석을 통해 탐구한다. 또한 학부모와의 협력과정과 학부모 교육의 설계에 대해서 공부한다.

2182128HCI-기반 학습 프로그램 개발 (HCl-based Learning Program Development)
3학점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l)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UX)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최적화하여 학습자의 참여도와 학습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2182129AI를 이용한 학습프로그램의 실제 (The Practice of Learning Programs Using Al)
3학점 AI를 이용한 학습경험(개별화 학습,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자동 평가, 콘텐츠 생성, 데이터분석 인터랙티브 학습 경험, 언어 처리 및 번역)의 원리와 실제를 이해함으로써 AI를 교수-학습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2182130다문화 및 인지학습분야 현장연구 (Field Research in Multiculturalism and/or Cognitive-Leeming Areas)
3학점 다문화 및/또는 인지학습이 이뤄지는 교육현장에서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한다. 아들 위해 언어·문화적 차이가 인지학습 스타일 동기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또는 학습자의 주의력, 인지부하, 메타인지 등에 대해 학생 성취도, 관찰과 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2182131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SL) 및 이중언어 습득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3학점 이중언어 습득과정을 이해하고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갖은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및 습득과정을 탐색한다.

2182132다문화교육정책과 다문화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 Multicultural Education)
3학점 현 한국사회와 교육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과정과 교육정책에 대해 탐색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 학습, 발달과 관련된 이슈들을 살펴본다.

2182133문화감응 교수법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3학점 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강점기반으로 전제하여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이 전 학습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학습자의 문화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교수·학습과정을 문화감응교수법 이론을 통해 탐색한다.

2182134문화, 학습, 발달과 학습자 다양성 (Culture, Learning, Development and Learner Diversity)
3학점 학습자의 가정, 학교, 일상생활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언어, 문화, 사회적 요소가 학습 발달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최근 연구동향 탐색을 통해 알아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다양성이 학습자의 인지, 동기, 및 교실환경과 수업과정에서의 소통과정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탐색해 본다.

2182135다문화 배경 아동 및 청소년: 사회적 맥락과 학습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Diverse Backgrounds: Social Context of Learning)
3학점 가정, 학교, 사회라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요소가 다문화배경 아동 및 청소년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한다.

2182136문화·언어적 다양성과 인지학습 발달 (Cultural & Linguistic Diversity and Cognitive Development)
3학점 문화·언어적 다양성과 학습자의 인지학습 발달과정의 관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언어적 배경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2182137문화·언어적 다양성과 사회성·정서 발달 (Cultural & Linguistic Diversity an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3학점 문화·언어적 다양성과 학습자의 사회성·정서 발달과정의 관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언어적 배경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2182138다문화상담 (Multicultural Counseling)
3학점 상담 현장에서 고려해야 하는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적 요소에 대해 논의하고 학교 가정, 사회 안에서 어떻게 적용 되는지와 상담 현장에서 필요한 다문화적 역량에 대해 고찰한다.

2182139고급인지발달 (Advanced Cognitive Development)
3학점 인지발달의 이론적 기반을 다룬다.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의 단계별 특징과 변화 과정을 탐구하고 인지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유전, 환경, 교육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이후 국내외 저명한 학술지의 논문들을 활용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한다.

2182140인간 인지 및 학습 (Human Cognition and Learning)
3학점 인간의 인지 및 학습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관련 연구방법론을 소개하고, 다양한 인지기능 및 학습이론을 탐구한다. 이후 국내외 저명한 학술지의 논문들을 활용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한다.

2182141최신 뇌기반 학습연구 분석 (Analysis of the Current Brain-based Learning Research)
3학점 뇌과학 분야를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학습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뇌영상 기술을 활용한 뇌활성화 연구. 뇌과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학습이론, 뇌기반학습 연구 결과를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방안 등을 다룬다. 이후 국내외 저명한 학습지의 논문들을 활용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한다.

2182142리서치 세미나 (Research Seminar)
3학점 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해외논문 탐독, 정리, 인용 등의 과정을 상세하게 배운다. 이를 위해 해외 논문의 선별법. 정리기법, 인용시 주의할 점 등을 파악하면서 학위논문 작성에 도움을 제공받는다.

2182143생각의 심리학 (Psychology of Thinking)
3학점 인간의 사고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단순한 정보처리 과정을 넘어 문제해결,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판단, 결정에 이르는 심리학적 기반을 배운다. 인간 사고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2182144뇌기반 교육데이터 분석 (Analysis of Brain-Based Education Data)
3학점 뇌과학과 교육학의 융합을 통해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 환경을 설계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다룬다. 뇌 영상 데이터, 행동 데이터, 생리학적 데이터 등 다양한 교육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2182145학습게임 디자인 (Learning Game Design)
3학점 학습과 게임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융합하여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학습 게임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게임 디자인 이론과 학습 심리학의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학습 목표에 맞는 게임 메커니즘, 콘텐츠, 평가 방법을 설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최신 학습 게임 개발 도구와 플랫폼을 활용하여 실제 학습 게임을 제작하고 평가하는 실습을 진행한다.

2182146뇌와 행동 (Brain and Behavior)
3학점 인간의 다양한 행동 양식이 뇌의 구조와 기능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탐구한다. 뇌 영상 기술, 신경생리학, 행동 실험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통해 뇌의 특정 부위가 어떤 행동에 관여하는지, 뇌의 연결망은 어떻게 행동을 조절하는지 등을 학습한다.

2182147인간개발 및 사회화 (Human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3학점 인간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다양한 발달 과정을 탐구한다.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상호 작용하여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해 나가는 사회화 과정에 초점을 둔다.

2182148교육분야에서의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in Education)
3학점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교육 데이터의 특성과 수집 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교육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능력을 키운다.

2182149데이터, 학습, 그리고 사회 (Data, Learning and Society)
3학점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데이터가 개인의 학습 경험. 사회 발전, 그리고 미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데이터 과학, 교육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융합하여 데이터 기반 학습 환경 구축. 사회 변화 분석, 그리고 데이터 윤리 문제 등을 탐구한다.

2182150교육데이터 관리 (Data Management in Education)
3학점 교육 현장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교육 데이터의 특성, 수집, 저장, 분석, 그리고 보안에 이르기까지 교육 데이터 관리의 전과정을 다루며, 교육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2182151상담사례실습 및 지도 (Counseling Practicum Supervision)
3학점 상담전문가의 감독아래 내담자를 맞이하여 상담을 실습해 봄으로써 상담자로서의 자질을 길러나간다.

2182152고급측정이론 (Advanced Measurement Theories)
3학점 교육심리학적 연구와 다양한 평가적 목적에 필요한 자료를 측정 및 수집하기에 필요한 논리를 이해하고 그를 적용하는데 필요한 제반 문제를 다루어 봄으로써 보다 수준 높은 측정능력을 함양하는데 주목적을 둔다.

2182153뇌과학의 다학제적 접근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Brain Science)
3학점 뇌의 복잡한 시스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목에서는 뇌의 구조와 기능. 신경생물학적 기전. 인지 과정, 뇌 질환, 인공지능과의 융합 등 뇌과학의 주요 연구 분야를 다루면서, 각 분양의 전문가들이 어떻게 협력하여 뇌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익히고, 뇌과학 연구의 최신동향을 파악하며, 미래 뇌과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한다.

박사과정

2183001박사학위논문연구 (Research for Doctoral Degree)
4학점

2183003교육과정 및 평가개별연구 (Independent Study on Educational Evaluation)
3학점 교육과정 및 평가에 대한 이론을 교수하며 교수 활동을 통해 교육 목표의 달성도를 밝히는 과정 및 그 방법에 대한 논의와 평가에 대한 개별연구를 수행한다.

2183004교육과정 질관리론 (Quality Control of Curriculum)
3학점 교육과정의 이론 및 실제를 교수하며, 교육과정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의 문제와 질 관리의 문제를 이론과 현장상황을 고려하며 다루게 된다.

2183005교육과정평가 세미나 (Seminar in Curriculum Evaluation)
3학점 교육과정 및 교수 활동을 통해 교육 목표의 달성도를 밝히는 과정 및 그 방법에 대한 논의와 교육과정 평가의 제 이론 및 모형, 평가결과의 교육적 활용 등이 다루어진다.

2183007교육프로그램평가실제 (Practice i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3학점

2183008부모교육프로그램 (Parental Education Program)
3학점 부모자녀관계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이를 실시할 수 있는 실제적인 기법을 다룬다.

2183011상담교육프로그램 (Counselor Education Program)
3학점 상담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시할 수 있는 실제적인 기법을 다룬다.

2183012상담사례분석 (Analysis of Case Studies)
3학점 기존의 상담자들의 사례를 축어록 또는 비디오테이프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상담자로서의 자질을 연마한다.

2183015심리검사 세미나 (Seminar in Psychological Testing)
3학점 다양한 심리검사를 임상장면에서 사례이해,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통합적이고 심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2183021고급심리치료 세미나 (Seminar in Advanced Psychotherapy)
3학점 심리치료의 기본적인 개념을 토대로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는 심리치료의 한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즉, 심리치료의 기본적인 기법은 물론, 한국 문화의 적용가능성 등 다양한 각도에서 한 접근방법을 이해하게 된다.

2183026가족역동과 심리치료 (Family Dynamics and Psychotherapy)
3학점 어려움을 겪는 한 개인의 문제를 가족의 기능 및 가족의 역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가족의 기능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치료이론과 실제를 이해한다.

2183027아동 및 청소년 연구 (Study of Children & Adolescents)
3학점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 및 심리문제를 심화 연구한다.

2183028정신역동치료세미나 (Seminar in Psycho-Dynamic Psychotherapy)
3학점 정신역동치료 및 통찰치료를 집중적, 심층적으로 이해하며 정신분석과 대상관계이론과의 개념적, 실제적 관계를 해명한다. 이를 통해 정신역동치료의 실제적인 치료전략 및 치료기법을 연구하고, 심리치료자로서 폭넓은 시각을 갖추고 전문성을 갖추도록 한다

2183029상담수퍼비젼 (Supervision in Counseling)
3학점 상담수퍼비젼에 대한 지금까지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수퍼바이저를 기른다.

2183032고급연구방법 세미나 (Seminar for Advanced Research)
3학점 논문을 설계하고 프로포잘 작성법과 예비조사법을 이해하고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방법을 다룬다.

2183036검사도구개발세미나 (Seminar in Instrument Development)
3학점 교육 및 심리검사 개발의 목적과 절차를 이해하고 검사도구 개발을 통하여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한다.

2183037고급측정이론 (Advanced Measurement Theories)
3학점 교육심리학적 연구와 다양한 평가적 목적에 필요한 자료를 측정 및 수집하기에 필요한 논리를 이해하고 그를 적용하는 데 필요한 제반 문제를 다루어 봄으로써 보다 수준 높은 측정능력을 함양하는 데 주목적을 둔다.

2183040ABA와 행동수정 실습 및 수퍼비전 (Practice and Supervision of ABA and Behavior Modification)
3학점 박사과정생들은 교수-학습현장이나 생활 현장에서 일어나는 아동, 청소년의 행동 문제를 수정하는 현장 실습/수퍼비전을 실시한다.

2183041학습 콘텐츠의 공학적 구현을 위한 융합 프로젝트 실습 (Convergence Project Practice for Engineering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3학점 다양한 기술적 원칙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콘텐츠 설계, 기술적 구현, 상호작용 요소, 피드백 및 평가, 접근성과 사용자 경험, 데이터 분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개발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2183042HCI-기반 행동수정 프로그램 개발 (HCI-based Program Development of Behavior Midification)
3학점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UX)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최적화한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설계한다.